BMC : Network for all
BASICS OF Network
1장.네트워크 첫걸음
- 네트워크, 패킷, 비트와 바이트, 랜(LAN), 웬(WAN), 서버(Server)
2장.네트워크의 기본규칙
- 프로토콜, OSI모델, TCP/IP모델, 캡슐화, 역캡슐화, 헤더
3장.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 물리계층, 전기신호, 디지털신호, 랜카드, 케이블, 허브
4장.데이터링크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 데이터링크계층, 이더넷, 충돌, MAC주소, 스위치, 전이중 통신방식
5장.네트워크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네트워크 계층, IP, IP주소, 네트워크 ID, 서브넷, 라우터
6장.전송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하기
- 전송계층, 연결형 통신, TCP, 일련번호, 포트번호, UDP
7장.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 응용계층, WWW, HTTP, DNS서버, SMTP, POP3
8장.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 OSI모델, 헤더, 트레일러, 라우팅, 스위치, 라우터
9장.무선 랜의 이해
-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IEEEE80211n, SSO, 채널, 전파간섭
[물리계층]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
OSI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신호의 변혼 및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을 한다.
랜카드
- 0과 1을 전기신호로 변환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됨
케이블(RJ45)
- 커넥터
케이블(UTP/STP)
- UTP/STP = 트위스트 페어케이블 = 랜케이블 …
- 케이블의 분류 : Cat3, Cat5, Cat5e, Cat6, Cat6a, Cat7
케이블(DIRECT/CROSS CABLE)
- ‘1,2’, ‘3,6’이 각각 송신, 수신 인지에 따라 구분
- 나머지 선 4개는 사용하지 않음
- DIRECT : 컴퓨터와 스위치
- CROSS : 컴퓨터와 컴퓨터(컴퓨터간에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 할 때, ‘1,2’->수신, ‘3,6’->송신)
리피터
- 네트워크를 연장하기 위한 장비
- 전기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장비
- 멀리있는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하짐ㄴ 요즘은 허브가 리피터의 기능을 지원
허브
- 포트(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림
- 리피터는 1: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포트를 여러개 가지고 있음
- 전기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
- 컴퓨터 여러대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이기도 함(직접 컴퓨터끼리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 가능)
- 어떤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도 받은 데이터를 전송
- 더미허브라고도 부름(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전기신호를 모든 포트로 보내버림) -> 스위치의 등장
- Auto MDIX : 다이렉트/크로스 케이블을 자동으로 판단
[데이터링크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네트워크 장비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네트워크 기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주소를 결정한다. 그 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규칙이 이더넷
이더넷
- 랜에서 적용되는 규칙,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의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사용
- 같은 허브를 사용하는 랜 환경에서는 모든 포트에 전기 신호가 전달된다 -> 목적지 정보를 추가하여 목적지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
CSMA/CD
- 더미 허브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모든 포트에 보내기만 하기 때문에 서로 부딪혀 충돌(collision) 발생
- 이더넷은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춤
- 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 CS :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규칙
- MA :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다면 데이터를 보내도 좋다는 규칙
- CD :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규칙
MAC 주소
-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
- 랜 카드 제조시에 랜카드에 부여된 물리주소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됨
- 48비트(6byte) 숫자로 구성 됨
- 예시) 00-23-AE-D9-7A-9A
- 00-23-AE(앞쪽 24비트): 랜카드를 만든 제조사번호
- D9-7A-9A(뒷쪽 24비트) : 제조사가 랜카드에 붙인 일련번호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캡슐화 : 프레임(+이더넷헤더, + 트레일러)
- 데이터링크/네트워크에서 이더넷헤더와 트레일러로 캡술화 함 -> 프레임
- 이더넷헤더(총 14byte) = 목적지MAC주소(6byte) + 출발지MAC주소(6byte) + 유형(2byte)
- 이더넷 유형(Ethernet type)은 이더넷으로 전송되는 상위 계측 프로토콜
- : 0800(IPv4), 0806(ARP), 8035(RARP), 814C(SNMP over Ethernet), 86DD(IPv6)
- 트레일러(FCS : Frame Check Sequence)
- 데이터 전송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
허브로 연결된 컴퓨터간의 네트워크
- 예시) A컴퓨터에서 B컴퓨터로 데이터 전송
- 1) 캡슐화, A컴퓨터의 데이터링크계층에서 데이터에 이더넷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듦
- 2) 만들어진 프레임을 물리계층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프레임비트열->전기신호)
- 3) 허브는 컴퓨터 A가 보낸 데이터를 1번 포트로 수신
- 4) 1번포트로 수신한 데이터를 모든 다른 포트로 전송
- 5) 3, 4, 5 등 자신의 MAC주소가 프레임내의 목적지 MAC주소와 다른 경우는 데이터 파기
- 6) 자신의 MAC주소가 프레임 내의 목적지 MAC주소와 동일한 2번포트(컴퓨터B)의 경우만 데이터 수신
- 7) 물리계층에서 전기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를 비트열로 변환
- 8) 역캡슐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리
- 9) 데이터전송 성공
-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D 규칙 적용
스위치
- 랜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단말기 간 스위칭 기능이 있는 통신망 중계 장치
- 컴퓨터(호스트)에서 특정한 다른 단말기로 패킷을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있어 통신효율 향상됨
- 허브와 달리 데이터 충돌이 발생 하지 않음, 데이터링크계층에서 동작, 레이어 2스위치, 스위칭허브
- 스위치내부에는 MAC주소 테이블(Bridge Table))이 존재
- MAC주소 테이블(Bridge Table)) : 스위치의 포트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주소가 등록(매칭)되는 DB
- MAC 주소 학습기능
- 1) 스위치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는 아직 MAC 주소 테이블에 아무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음
- 2)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주소가 추가된 프레임 이라는 데이터가 전송되면,
- 3) 스위치 내부의 MAC주소 테이블을 확인
- 4)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MAC 주소를 출발지 포트에 등록(포트에 MAC주소 부여)
- 5-1) 목적지 MAC주소가 MAC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송신포트 외에 모든 포트에 - 데이터(프레임)이 전송됨 -> 플러딩(FLOADING)
- 5-2) MAC주소 테이블에 목적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었다면, 목적지 포트(목적지 컴퓨터)에만 데이터가 전송됨 -> MAC주소 필터링
전이중통신/반이중통신
- 전이중통신방식(full-duplex comm.) : 데이터의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통신방식
- 서로 다른 회선이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 컴퓨터를 직접 랜 케이블(크로스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 또는 스위칭허브를 사용하는 경우(랜카드와 허브간 동시 송수신 가능)
- 반이중통신방식(full-duplex comm.) : 회선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
- 더미허브(MAC주소테이블이 없는)를 사용하는 경우
충돌 도메인(Collision domain)
- 충돌 :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만 전송할 수 있는 채널에 전송 장치 두 개가 같은 시점에 패킷을 보낼때 일어나는 데이터 충돌
- 충돌 도메인 : 충돌이 발생할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
- 허브(더미허브) :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 전체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이 됨
- 스위치 :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전이중통신방식이기때문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충돌도메인도 해당 포트와 컴퓨터로 한정됨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정의
- 목적지 컴퓨터의 IP주소를 이용하여 MAC주소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
- 네트워크 계층주소와 데이터링크 계층 주소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며 IP주소를 물리주소인 MAC주소로 변환
-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려면 목적지 컴퓨터의 MAC주소를 지정해야 함
- 절차
- 출발지 컴퓨터가 목적지 주소를 모르는 경우 MAC 주소를 알아내기위해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를 한다.-> ARP요청(Request)
- 이 요청에 대해 지정된 IP주소를 갖고 있지 않은 컴퓨터는 응답하지 않고 지정된 IP주소를 가진 컴퓨터는 MAC주소를 응답으로 보냄. -> ARP응답(reply)
- ARP요청(Request) 와 ARP응답(Reply)를 통해 출발지 컴퓨터는 MAC주소를 얻고 이더넷 프레임을 만들 수 있음
- 출발지 컴퓨터는 MAC주소를 얻은 후에 MAC주소와 IP주소의 매핑 정보를 메모리에 보관 ->ARP테이블(Table)
- 이후 데이터 통신은 자신의 컴퓨터에 보관된 ARP테이블(Table)을 참고하여 전송
- 보존기간을 ARP캐시(Cache)로 지정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삭제하고 다시 ARP요청(Request)함
- IP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MAC주소도 함께 변경되므로 제대로 통신할 수 없기 때문
- ARP
- ARP캐시(Cache) : 가장 최근에 변환한 IP대 하드웨어 주소를 보관하고 있는 RAM의 영역
- ARP요청(Request) :IP주소를 대치할 수 있는 물리주소인 MAC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보내는 브로드캐스트 패킷 요청
- ARP응답(Reply) : ARP요청(Request)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한 IP주소에 대한 물리주소인 MAC주소가 실려 있다.
이더넷 표준
- 이더넷규격 10BASE5, 10BASE2, 10BASE-T, 100BASE-T, 1000BASE-T, 10GBASE-T
- 명칭의 정의 예) 10 BASE - T
- 10 -> 통신 속도 : 10Mbps
- BASE -> 전송방식 : Baseband( 펄스신호에 의한 디지털 전송방식)
- T -> 케이블종류 : UTP 케이블
- - -> 하이픈(-) 뒤는 케이블의 길이나 케이블의 종류
- 5 -> 동축케이블은 케이블의 최대 길이를 100미터 단위로 표시. 즉, 5 인경우 500미터
[네트워크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네트워크 계층, IP, IP주소, 네트워크 ID, 서브넷, 라우터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를 전송(스위칭허브사용)할 수 있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 전송 불가. 따라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간의 '패킷'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IP주소와 라우팅
- IP : 인터넷에 있는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P주소 : 네트워크에서도 주소가 있어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음
- IP주소 :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장치)’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다른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음
- 라우팅 :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보낼 때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가지 경로 중 한가지 경로를 설정
-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치,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능것이 좋은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함. 라우팅테이블(rounting table) 을 통해 경로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여 라우팅(Routing) 한다.
- 라우팅 테이블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킬 목적으로 사용.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가장 좋은 라우터의 정보를 갖고 있다.
네트워크계층에서의 캡슐화(IP헤더) : IP 패킷
- 네트워크 계층에는 IP라는 프로토콜을 적용
- 버전, 헤더길이, 서비스유형, 전체패킷길이, ID, 조각상태, 조각의 위치, TTL, 프로토콜, 헤더 체크섬, 출발지IP주소(32bit), 목적지IP주소(32bit)
-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캡슐화 할때 IP헤더가 추가된 것을 IP패킷 이라고 함
- [이미지 작성할것]
IP주소의 구조
- IPv4(32bit, 43억개), IPv6(340조의 1조배의 1조배)
- 공인IP주소 : ISP가 제공,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에 할당되는 주소
- 사설IP주소 :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에 할당되는 주소
- 랜 안의 여러 컴퓨터에 IP주소를 할당하는 절차
- 1) ISP가 제공하는 공인IP주소를 라우터에만 할당
- 2-1) LAN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주소를 할당
- 2-2) LAN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라우터의 DHCP기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할당
DHCP(Dynamic Host Cofiguration Protocol) :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ID : 어떤 네트워크인지?
- 호스트ID : 해당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인지?
IP주소의 클래스 구조
-
32bit 중에서 네트워크ID, 호스트ID의 크기를 조정하여 클래스를 구분
클래스이름 내용 클래스 이름 내용 A클래스 대규모 네트워크 주소 D클래스 멀티캐스트(Multicast) B클래스 중형 네트워크 주소 E클래스 연구 및 특수용도 C클래스 소형 네트워크 주소 E클래스 연구 및 특수용도 - A클래스
-
주소범위 : 1.0.0.0 ~ 127.255.255.255
네트워크ID 호스트ID 호스트ID 호스트ID 0000001 0000000 00000000 00000000 ~ ~ ~ ~ 0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0~127 0~255 0~255 0~255 - 공인 IP :1.0.0.0 ~ 9.255.255.255
- 공인 IP :11.0.0.0 ~ 126.255.255.255
- 사설 IP :10.0.0.0 ~ 10.255.255.255
-
- B클래스
-
주소범위 : 128.0.0.0 ~ 191.255.255.255
네트워크ID 네트워크ID 호스트ID 호스트ID 10000000 0000000 00000000 00000000 ~ ~ ~ ~ 10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28~191 0~255 0~255 0~255 - 공인 IP :128.0.0.0 ~ 172.15.255.255
- 공인 IP :172.32.0.0 ~ 191.255.255.255
- 사설 IP :172.16.0.0 ~ 172.31.255.255
-
- C클래스
-
주소범위 : 192.0.0.0 ~ 223.255.255.255
네트워크ID 네트워크ID 네트워크ID 호스트ID 11000000 0000000 00000000 00000000 ~ ~ ~ ~ 110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92~223 0~255 0~255 0~255 - 공인 IP :192.0.0.0 ~ 192.167.255.255
- 공인 IP :192.169.0.0 ~ 223.255.255.255
- 사설 IP :192.168.0.0 ~ 192.168.255.255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 네트워크주소 : 전체 네트워크의 대표 주소(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
- c클래스 -> 호스트ID가 0 (000000002)
- 브로드캐스트주소 : 한번에 데이터를 전송
- c클래스 -> 호스트ID가 255 (111111112)
서브넷
1). 정의
- 호스트ID로 사용되던 비트를 서브넷 ID로 변경
-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힘
- A클래스 네트워크와 같은 경우를 예로들면, 호스트ID가 24비트 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하면 모든 컴퓨터에 패킷이 전송되어 네트워크가 정체되기 때문
- 서브넷팅(Subneting) : 네트워크를 분할 하기 위해 IP주소의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
- 서브넷(Subnet) : 분할된 네트워크
- 서브넷ID :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늘리기 위해 서브넷마스크로 사용되는 비트 (서브넷비트)
2). 서브넷마스크
- IP주소를 서브넷팅 할때 어디까지가 네트워크ID고 어디부터가 호스트ID인지 식별하기 위한 값
-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 나타나게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를 판별
- A클래스 : 255.0.0.0 /8
- B클래스 : 255.255.0.0 /16
- C클래스 : 255.255.255.0 /24
- Prefix 표시법 : 네트워크ID, 서브넷ID 를 더한값을 표기 예) /28(24+4)
라우터
1).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 이미지(라우터로 분기할때/스위치로 분기할때)
- 라우터로 네트워크 분리 가능, 스위치로는 불가능(아무리 많은 스위치를 써도 같은 네트워크임)
2). 기본게이트웨이
- 네트워크를 분할한 다음에 컴퓨터 한 대가 다른 네트워크로 접속할 시, 네트워크의 출입구 설정
-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지정하고 일단은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송함
- 컴퓨터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 때 어디로 전송해야하는지 알지 못함
- 기본게이트웨이 : 라우터의 IP주소를 설정 (네트워크의 출입구 설정)
- ‘자동으로 IP주소 받기’에 체크되어 있으면 네트워크 외부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기본게이트웨이가 자동으로 설정
3). 라우팅
-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라우팅테이블 : 경로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 -이미지(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경로정보)
- 라우팅 테이블 등록방법
- 소규모네트워크 -> 수동으로 등록, 대규모네트워크-> 자동으로 등록
- 라우팅프로토콜
- 라우터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RIP, OSPF, BGP 등
[전송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달하기
- 전송계층, 연결형 통신, TCP, 일련번호, 포트번호, UDP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 : 데이터가 라우터를 경유하는 도중에 패킷이 손상되거나 라우팅 정보가 잘못될 경우 방지. '**역할1 :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 '**역할2 :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
분류
- 신뢰성/정확성 :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 -> 연결형 통신 TCP
- 효율성 :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동영상 등) -> 비연결형 통신 UDP
TCP
- 신뢰성과 정확성을 우선으로 하는 연결형 통신 프로토콜
전송계층에서의 캡슐화1(TCP헤더) : 세그먼트(Segment)
- 전송계층에서 TCP는 연결형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꼼꼼하게 상대방을 확인하면서 데이터 전송
- 출발지포트번호, 목적지 포트번호, 일련번호, 확인응답번호, 헤더길이, 예약영역, 코드비트, 윈도우크기, 체크섬, 긴급포인터, 옵션
-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캡슐화 할때 TCP헤더가 추가된 것을 세그먼트(Segment) 라고 함
- [TCP이미지작성할것]
- 연결(Connection) : 가상의 독점 통신로, TCP통신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통신로
코드비트
-
TCP헤더의 107번째 비트부터 112번째 비트까지 6비트로 연결의 제어정보가 기록 되는 곳
URG ACK PSH RST SYN FIN 0 0 0 0 0 0 - SYN : 연결요청
- ACK : 확인응답
- FIN : 연결종료
3-Way 핸드셰이크
1). 연결요청 - [이미지]
-
연결확립요청
URG ACK PSH RST SYN FIN 0 0 0 0 1 0 -
연결확립응답 + 연결확립요청
URG ACK PSH RST SYN FIN 0 1 0 0 1 0 -
연결확립응답
URG ACK PSH RST SYN FIN 0 1 0 0 0 0
2). 연결종료요청 -[이미지]
-
연결종료 요청
URG ACK PSH RST SYN FIN 0 0 0 0 0 1 -
연결종료 응답
URG ACK PSH RST SYN FIN 0 1 0 0 0 0 -
연결종료 요청
URG ACK PSH RST SYN FIN 0 0 0 0 0 1 -
연결종료 응답
URG ACK PSH RST SYN FIN 0 1 0 0 0 0
일련번호와 확인응답번호의 구조??
TCP헤더에서의 일련번호, 확인응답번호
1). 일련번호????
2). 확인응답번호????
윈도우의 크기(버퍼의 한계크기)??
- 버퍼, 오버플로우
UDP
1). 정의
- 비연결형 통신, 효율성(데이터를 빠르게 보내는 것)을 중요시 함
전송계층에서의 캡슐화2(UDP헤더) : UDP데이터그램
- 브로드케스트 가능
포트번호
- 전송된 데이터으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 인지 구분
- 0~1023포트는 주요 프로토콜이 사용하도록 예약(Well know ports)
- 1024 번은 예약되어 있지만 사용되지 않음
-
1025번 이상은 랜덤포트 -> 클라이언트 측의 송신 포트로 사용
애플리케이션 포트번호 SSH 22 SMTP 25 DNS 53 HTTP 80 POP3 110 HTTPS 443
[응용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 응용계층, WWW, HTTP, DNS서버, SMTP, POP3
- 이미지 OSI모델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기술
WEB SERVER (HTTP)
DNS
SMTP / POP3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 OSI모델, 헤더, 트레일러, 라우팅, 스위치, 라우터
무선 랜의 이해
-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IEEEE80211n, SSO, 채널, 전파간섭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