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st Blog Post in 2021

3 minute read

Nested and mixed lists are an interesting beast. It’s a corner case to make sure that

  • Lists within lists do not break the ordered list numbering order
  • Your list styles go deep enough.

1. 분석

1.1 현업 요구사항 정의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이 되며 고객의 needs를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펙산정이 가능합니다. 이 부분에서 요구 ID를 도출합니다.
1.2 기능차트
현업 요구사항을 근간으로 큰 카테고리를 만들어 한눈에 해당 프로젝트가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개발방법론에 따라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기능차트와 같이 만들 수도 있습니다.)
1.3 프로세스 정의서
기능차트를 기준으로 각각의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 때에 따라 확대된 프로세스의 표현도 가능합니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추가해도 됩니다.)
1.4 인터페이스 정의서
상기 현업 요구사항 정의서, 기능차트, 프로세스 정의서를 근간으로 하여 레거시 및 대외계 시스템, 웹서비스 등 어떤식으로 인터페이스를 해야한다는 정의

2. 설계

2.1 UI(화면) 설계서 : 웹 APP 혹은 CS APP 이든 간에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부분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2.2 ERD : 해당 업무의 DB를 생성하고 테이블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문서입니다.

2.3 테이블 목록 : 테이블 정의서도 있지만, 테이블 목록은 관리자가 한눈에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DB테이블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필요합니다.

2.4 테이블 정의서 : 테이블필드 VALUE와 설명, 바이트 수 등을 표기합니다.

2.5 프로그램 목록 : 실질적으로 설계단계에 정확한 프로그램 목록이 나오지 않지만 설계단계의 계획 프로그램 목록을 작성합니다. (*개발방법론에 따라 클래스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명세서, 클래스 정의서 등도 포함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2.6 개발 표준 정의서 : 변수명, brace, 클래스네임, 파일명, 규칙 등 코딩관련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일선 담당자가 소스코드를 확인해도 눈에 익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문서입니다.

2.7 단위테스트 시나리오 : 분석, 설계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족되면 이쯤하여 단위테스트 시나리오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선택적으로 고객의 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8 통합테스트 시나리오 : 설계단에서 하기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단위테스트를 근간으로 고객의 요청을 좀 더 보완하여 통합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고객의 싸인은 필수입니다.)

2.9 기타

3. 개발 / 테스트

3.1 소스코드(개발 원시코드)
말그대로 오류수정까지 끝난 원시코드 자체를 말합니다.
3.2 단위테스트 결과서
단위테스트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아마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고, 이 과정을 통해 고객의 변경 요구사항도 많은 부분입니다. (*변경요청서도 상황에 따라 필요합니다.)
3.3 결함/오류보고서
단위테스트를 통해 알게 된 에러의 원인과 수정에 대한 내용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오류코드 정의서를 뽑아내고 보완합니다.
3.4 오류코드 정의서
해당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코드화하여 보여줍니다.
3.5 통합테스트 결과서
단위테스트를 통해 보완된 내용을 포함하고, 통합테스트 시나리오의 보완을 통해 실시된 통합테스트 결과를 보여줍니다. 개발을 완료했냐 안했냐의 잣대가 되는 문서로서 고객의 싸인이 가장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반려가 일어나면 위의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3.6 시스템 이행계획서
통합테스트가 끝나면 스탠바이 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해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을 몇월, 며칠, 몇시에 누구누구가 무엇을 귀속시키고 옵저버는 누구이며 어떻게 이행을 할 것인지 등을 표현합니다.

3.7 기타

4. 구현(이행 및 안정화)

4.1 시스템 이행 결과서
시스템 이행계획서를 통해 이행된 결과를 확인받는 문서입니다.
4.2 사용자 매뉴얼
사용자화면이 있을 경우 생성하는 메뉴얼입니다. 일반적인 조작법을 기록하며, 화면등을 예시합니다.
4.3 운영자 매뉴얼
시스템 전반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분석, 설계, 개발 절차에서 나오는 문서를 담고 있습니다.
4.4 교육(인수)명세서
사용자 매뉴얼 및 운영자 매뉴얼을 중심으로 해당 담당자 및 사용자에게 시스템 전반 및 세부사항을 교육/인수한 후 싸인받는 문서입니다.
4.5 개발산출별 검사리스트
예시된 산출물들이 이상없이 인수되었는지를 개별로 체크한 후 고객의 싸인을 받는 문서입니다.
4.6 프로젝트 완료보고서
최종적으로 개발한 내용, 인도물, 하드웨어, 고객대표, 개발자대표 싸인을 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프로젝트 완료보고서입니다.

4.7 기타

  1. ordered item
  2. ordered item
    • unordered
    • unordered
      1. ordered item
      2. ordered item
  3. ordered item
  4. ordered item

Ordered – Unordered – Unordered

  1. ordered item
  2. ordered item
    • unordered
    • unordered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3. ordered item
  4. ordered item

Unordered – Ordered – Unordered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1. ordered
    2. ordered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Unordered – Unordered – Ordered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 unordered
    • unordered
      1. ordered item
      2. ordered item
  • unordered item
  • unordered item

Task Lists

  • Finish my changes
  • Push my commits to GitHub
  • Open a pull request

Leave a comment